관심통/PC·스마트폰

펌웨어 : 부팅, BIOS, UEFI, mbr

우공(友空) 2016. 4. 1. 09:42

 

검색결과

 

 http://it.hunhan.kr/624    UEFI 환경 이해하기

 

http://cafe.naver.com/ssdsamo/63244   부팅시간비교,  usb FAT32 

 

 

Uefi 부트는 secure boot를지원하고
Legacy boot 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AHCI 모드 설정

해당 모드로 변경을 해줘야 SSD 본연의 속도를 즐길 수 있다. OS를 설치한 후에 해당 모드를 변경하면 부팅이 불가하니 유의해야 한다.

 

윈도7, 윈도8 설치를 위한 설정

부팅방법(펌웨어)은 크게 BIOS(legacy BIOS)와 UEFI로 나뉜다. BIOS부팅은 하드, 플로피, ODD등의 매체에서 부트플래그가 설정돼있는 파티션을 선택해서 부팅하는 것이고, UEFI부팅은 EFI로 설정돼있는 파티션을 자동으로 찾아 특정경로에 위치한 부트로더로 부팅하는 방법. 최근에 나온 메인보드의 UEFI 펌웨어들은 대부분 CSM(Compatibility Support Module)이라고 해서, BIOS부팅과 UEFI부팅 모두를 지원한다. UEFI는 윈도8부터 적용이 된 관계로 UEFI 모드로 변경을 해야 윈도8 설치가 가능합니다. 하위 버전인 윈도7 사용을 위해선 CSM으로 설정해야 정상적인 OS 설치가 가능하다

 노트북에 SSD를 장착하기 전 반드시 어댑터와 배터리를 제거해야 한다.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분해를 시도하면 노트북 메인보드에 심대한 손상을 끼칠 수 있다.

 

 

 

 

다른검색내용

 

문제

멀쩡히 잘 살아있던 윈도우 7 설치용 USB가 CHKDSK를 한번 돌리니 파일이 죄다 엉망이 된 지라, 설치 USB를 다시 만들었다.
잘 만들고 부팅 후 설치 과정으로 제대로 들어가는지 확인하려고 하니, USB로 부팅하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바로 하드디스크로 부팅한다. 잘못 만들었나 싶어서 한번 더 만들었다. 똑같다(...)

혹시나 해서 태블릿에 꽃고 부팅을 해보니 제대로 설치 과정으로 진입한다.
이건 뭐... 설치 USB주제에 컴퓨터를 가린다니?


해결
이렇게 하면 BIOS에서만 부팅이 된다.

이는 BIOS / UEFI 관련 문제였다.

설치 USB를 작성하고, 처음에 부팅 여부를 테스트한 컴퓨터는 BIOS만 지원하는 구형 기종.
근데 분명히 BIOS용 부팅 파일이 멀쩡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EFI 부팅 쪽 파일을 먼저 읽어버리는지 - 물론 맞지 않으니 이걸로 부팅이 될 리가 없다. 그래서 다음 부팅 장치인 하드디스크로 자꾸 읽어들이는 것.

물론 EFI시스템인 태블릿은 위의 문제 없이 바로 EFI로 부팅해버리기 때문에 별 문제없이 설치 과정으로 부팅한다. 거기에 EFI시스템은 설정에서 BIOS호환 모드(LEGACY 모드)만 설정해주면 양쪽 다 사용이 가능하다.

그럼, EFI로 부팅을 못 하게 관련 파일을 어떻게 하면 될 거 같은데...

1. USB를 BIOS에서만 부팅하게 하기 - 최신 OS, 구형 PC -
설치 USB의 루트 폴더에서 EFI 폴더BOOTMGR.EFI 파일을 없엔다. 아주 지우기는 그러니, 이름을 살짝 바꿔준다.

2. USB를 EFI에서만 부팅하게 하기
설치 USB의 루트 폴더에서 BOOTMGR 파일(확장자가 없음에 유의)을 없엔다. 마찬가지로 이름만 살짝 바꿔주면 OK.

3. 아무래도 좋지만 USB 3.0포트에 꽃아서 안 되는 경우도 있으니, 이때는 USB 2.0포트에 꽃아보자.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msdn.microsoft.com/ko-kr/library/hh825112.aspx?f=255&MSPPError=-2147217396

[출처] [윈도우] 윈도우 설치 USB 사용 시, USB의 UEFI와 BIOS모드 선택하기|작성자 테인

 

아래는 또 다른 내용

UEFI 모드 또는 레거시 BIOS 모드로 부팅

업데이트 날짜: 2013년 12월

적용 대상: Windows 8, Windows 8.1, Windows Server 2012, Windows Server 2012 R2

USB, DVD 또는 네트워크 위치에서 Windows를 설치할 때 UEFI 모드 또는 레거시 BIOS 호환 모드로 부팅합니다.

잘못된 모드를 사용하여 Windows를 설치할 경우 해당 펌웨어 모드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려면 드라이브를 다시 포맷해야 합니다.

  1. PC를 부팅합니다. 펌웨어가 실행되기 시작하면 부팅 장치 메뉴를 여는 키를 누릅니다. 예를 들어 Esc, F2, F9, F12 또는 기타 키를 눌러 펌웨어 또는 부팅 메뉴를 시작합니다.

  2. 부팅 장치 메뉴에서 펌웨어 모드와 장치를 모두 식별하는 명령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UEFI USB 드라이브 또는 네트워크 - BIOS를 선택합니다.

    note참고
    동일한 장치에 대해 개별 명령이 표시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UEFI USB 드라이브 및 BIOS USB 드라이브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각 명령은 동일한 장치와 미디어를 사용하지만 다른 펌웨어 모드에서 PC를 부팅합니다.

     

     

    장치에 대한 부팅 장치 옵션이 표시되지 않을 경우:

    • 펌웨어 메뉴에서 옵션을 확인하여 BIOS 호환 모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합니다.

    • BIOS 호환 모드를 사용하려면 펌웨어 메뉴에서 옵션을 확인하여 UEFI 보안 부팅 기능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합니다.

    • 이전 PC(Windows(R) 7 세대 이전)의 경우 파일에서 부팅 옵션을 찾고 장치에서 \EFI\BOOT\BOOTX64.EFI 파일로 이동합니다.

  • Windows 설치 프로그램 또는 Windows 설치 DVD를 사용하여 Windows를 설치할 경우 대상 PC에서 미리 포맷된 하드 드라이브를 사용합니다. UEFI 모드에는 GPT 파일 형식을 사용하고 BIOS 모드에는 MBR 파일 형식을 사용합니다. Windows 설치가 실행될 때 PC가 잘못된 모드로 부팅되면 Windows가 설치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Windows 설치 프로그램: MBR 또는 GPT 파티션 스타일을 사용하여 설치를 참조하세요.

  • Windows PE나 Windows 설치에서 UEFI 또는 BIOS 부팅 파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Windows 설치 DVD에 UEFI 모드용 부팅 파일만 포함되어 있는데 제조 시 실수로 PC를 BIOS 모드로 부팅하려고 하면 PC가 즉시 부팅되지 않으므로 바로 문제 해결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UEFI: Windows 설치 또는 Windows PE가 BIOS 모드에서 부팅되지 않도록 제한하려면 미디어의 루트에서 bootmgr 파일을 제거합니다.

    • BIOS: Windows 설치 또는 Windows PE가 UEFI 모드에서 부팅되지 않도록 제한하려면 미디어의 루트에서 efi 폴더를 제거합니다.

  • Windows PE에서는 GetFirmwareEnvironmentVariable 함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UEFI 또는 레거시 BIOS 모드에서 Windows PE 부팅을 참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