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80

불교와 과학-불교평론 2024 가을호 6편의 글

출처  https://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64 불교와 과학, 그 멀고도 가까운 거리 / 장회익 - 불교평론들어가는 말《네 발 위의 부처님(Der Buddha auf vier Pfoten)》(Dirk Grosser 지음)이란 책이 《우리가 알고 싶은 삶의 모든 답은 한 마리 개 안에 있다》는 제호로 번역되어 나온 바 있다. 이 책은 한 젊은www.budreview.com출처  https://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67 진화생물학과 불교 / 전중환 - 불교평론1. 머리말어떤 사람이 이렇게 이야기하면 어떨까? ‘과학은 유교가 진실임을 입증합니다. 유교의 경전인 《주역(周易)》에는..

대승은 끝났다 /시현 스님

출처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20792 금강경의 권위에 맞선 치열한 비판 의식 - 불교언론 법보신문남들이 칭찬할 때 덩달아 칭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남들이 돌 던질 때 함께 던지는 일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남들이 칭찬하는 일을 전면 비판하거나 남들이 비난할 때 막아서는 일은 웬만한www.beopbo.com  아래는 원문.  금강경의 권위에 맞선 치열한 비판 의식기자명 이재형 대표 본문 글씨 키우기 본문 글씨 줄이기 바로가기 기사저장불서입력 2024.02.16 21:03수정 2024.02.21 16:00호수 1717 댓글 1비움과 금강경시현 스님 역주 / 사유수 / 266쪽 / 2만원남들이 칭찬할 때 덩달아 칭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화이트헤드와 다르마키르티 - 합리적인 종교, 성스러운 철학 / 권서용

출처  https://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52 화이트헤드와 다르마키르티 - 합리적인 종교, 성스러운 철학 / 권서용 - 불교평론1. 낡은, 새로운 철학과 종교이 세상 모든 흐름에는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이 있게 마련이다. 전자는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라면, 후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www.budreview.com아래는 원문밑줄, 강조는 내가 특집 | 불교와 서양철학의 만남1. 낡은, 새로운 철학과 종교이 세상 모든 흐름에는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이 있게 마련이다. 전자는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라면, 후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다. 엔트로피의 감소는 생명에로의 약동(躍動)이며, 엔..

데리다와 불교 - 사는 것을 배운다는 것

출처  https://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50 데리다와 불교 - 사는 것을 배운다는 것 / 박진영 - 불교평론들어가는 말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는 20세기 후반 서구 철학에서 가장 잘 알려진 철학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68년에 《문자학에 대하여(De la grammatologie)》라는 저서를 필두로 데www.budreview.com아래는 원문, 밑줄 강조는 내가 특집 | 불교와 서양철학의 만남들어가는 말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는 20세기 후반 서구 철학에서 가장 잘 알려진 철학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68년에 《문자학에 대하여(De la gram..

카테고리 없음 2024.07.06

히라카와 아키라(平川彰)

출처  https://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90 세계의 불교학자 34. 히라카와 아키라(平川彰) / 박성일 - 불교평론2017년 일본의 불교학계를 대표하는 학회인 ‘인도학불교학연구회(印度學佛教學研究會)’는 ‘인도불교 연구의 미래’라는 패널 발표 보고회를 개최하였다. 이 보고회의 부제가 바로 ‘포스트www.budreview.com 아래는 원문, 밑줄 강조는 내가 대승의 기원, 율장 연구의 이정표를 세우다2017년 일본의 불교학계를 대표하는 학회인 ‘인도학불교학연구회(印度學佛教學研究會)’는 ‘인도불교 연구의 미래’라는 패널 발표 보고회를 개최하였다. 이 보고회의 부제가 바로 ‘포스트 히라카와 아키라 시대의 불교학이 나아갈 방향’이었다. 대승불..

무연고 무빈소 장례식

출처  https://cuba.tistory.com/387 무연고 장례식 절차와 내용, 비용을 알아보겠습니다 ( ft. 무빈소장례식 절차와 비용, 과정과 비코로나 시기에 지인의 연로하신 할머님의 소천이 가까워지셔서 무빈소장례식에 관해서 알아보고 장례를 치르는 과정을 함께 하게 되어 관련 내용을 포스팅으로 정리하였습니다. 그런데, 무빈cuba.tistory.com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졌나?…‘대칭’을 깨트려 ‘질량’을 얻다

출처  https://www.khan.co.kr/science/science-general/article/202404292000005 [전문가의 세계 - 이종필의 과학자의 발상법]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졌나?…‘대칭’을 깨트려“이 세상은 대체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 호모 사피엔스라는 종이 이 행성에 출현한 이후 가졌을 법한 가장 궁금한 질문의 순위를 매긴다면 이 질문이 적어도 상위 3위 안에는 ...www.khan.co.kr아래는 원문, 밑줄 강조는 내가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졌나?…‘대칭’을 깨트려 ‘질량’을 얻다입력 : 2024.04.29 20:00 수정 : 2024.04.29 20:03이종필 교수뉴스플리공유하기 글자크기 변경인쇄하기(54) ‘신의 입자’ 남긴 피터 힉스일러스트 | 김상민 기자 ye..

돈에 대한 불교의 가르침과 역사적 전개 / 박경준

출처  https://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784 돈에 대한 불교의 가르침과 역사적 전개 / 박경준 - 불교평론1. 돈에 대한 불교의 가르침 인류 역사에 있어서 불의 발견 못지않게 획기적인 사건은 돈, 즉 화폐의 창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화폐에 의해서 기존의 물물교환경제(barter economy)가 화폐경제(www.budreview.com 아래는 원문, 밑줄 강조는 내가 박경준 동국대 교수1. 돈에 대한 불교의 가르침인류 역사에 있어서 불의 발견 못지않게 획기적인 사건은 돈, 즉 화폐의 창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화폐에 의해서 기존의 물물교환경제(barter economy)가 화폐경제(monetary economy)로 바뀌면서 우..

한국의 대표 불교종단 / 상제가 부처와 보살을 혼내다니!!!

원문  https://gdlsg.tistory.com/3755 대한불교 조계종과 천태종 비구승 종단과 대한불교 태고종과 진각종 대처승 종단대자연 이치의 근본 틀 음양(陰陽)은 만유(萬有)와 인간 삶의 절대 법칙 대한불교 조계종 천태종 등 비구승 종단과 태고종 진각종 등 대처승 종단 우리나라에 불교가 최초로 유입된 것은 가야를gdlsg.tistory.com 밑줄 강조는 내가  대한불교 조계종과 천태종 비구승 종단과 대한불교 태고종과 진각종 대처승 종단 by 도생(道生) 2022. 10. 1. 대자연 이치의 근본 틀 음양(陰陽)은 만유(萬有)와 인간 삶의 절대 법칙 대한불교 조계종 천태종 등 비구승 종단과 태고종 진각종 등 대처승 종단         우리나라에 불교가 최초로 유입된 것은 가야를 건국한 김수로..

DNA와 RNA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033/0000046301?type=series&cid=1088640 RNA의 꿈[김우재의 플라이룸](44) DNA와 RNA는 모두 핵산으로 분류되는 생체 분자다. 세상에 먼저 생겨난 핵산은 RNA였다. 대부분의 진화이론가는 지구에 최초로 생겨난 생명체는 RNA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이 ‘RNA 세계 가 n.news.naver.com 아래는 원문 DNA와 RNA는 모두 핵산으로 분류되는 생체 분자다. 세상에 먼저 생겨난 핵산은 RNA였다. 대부분의 진화이론가는 지구에 최초로 생겨난 생명체는 RNA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이 ‘RNA 세계 가설’에 따르면, 지구 초기에는 RNA가 단백질과 함께 생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