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136

불교와 과학-불교평론 2024 가을호 6편의 글

출처  https://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64 불교와 과학, 그 멀고도 가까운 거리 / 장회익 - 불교평론들어가는 말《네 발 위의 부처님(Der Buddha auf vier Pfoten)》(Dirk Grosser 지음)이란 책이 《우리가 알고 싶은 삶의 모든 답은 한 마리 개 안에 있다》는 제호로 번역되어 나온 바 있다. 이 책은 한 젊은www.budreview.com출처  https://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67 진화생물학과 불교 / 전중환 - 불교평론1. 머리말어떤 사람이 이렇게 이야기하면 어떨까? ‘과학은 유교가 진실임을 입증합니다. 유교의 경전인 《주역(周易)》에는..

대승은 끝났다 /시현 스님

출처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20792 금강경의 권위에 맞선 치열한 비판 의식 - 불교언론 법보신문남들이 칭찬할 때 덩달아 칭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남들이 돌 던질 때 함께 던지는 일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남들이 칭찬하는 일을 전면 비판하거나 남들이 비난할 때 막아서는 일은 웬만한www.beopbo.com  아래는 원문.  금강경의 권위에 맞선 치열한 비판 의식기자명 이재형 대표 본문 글씨 키우기 본문 글씨 줄이기 바로가기 기사저장불서입력 2024.02.16 21:03수정 2024.02.21 16:00호수 1717 댓글 1비움과 금강경시현 스님 역주 / 사유수 / 266쪽 / 2만원남들이 칭찬할 때 덩달아 칭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화이트헤드와 다르마키르티 - 합리적인 종교, 성스러운 철학 / 권서용

출처  https://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52 화이트헤드와 다르마키르티 - 합리적인 종교, 성스러운 철학 / 권서용 - 불교평론1. 낡은, 새로운 철학과 종교이 세상 모든 흐름에는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이 있게 마련이다. 전자는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라면, 후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www.budreview.com아래는 원문밑줄, 강조는 내가 특집 | 불교와 서양철학의 만남1. 낡은, 새로운 철학과 종교이 세상 모든 흐름에는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이 있게 마련이다. 전자는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라면, 후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다. 엔트로피의 감소는 생명에로의 약동(躍動)이며, 엔..

히라카와 아키라(平川彰)

출처  https://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90 세계의 불교학자 34. 히라카와 아키라(平川彰) / 박성일 - 불교평론2017년 일본의 불교학계를 대표하는 학회인 ‘인도학불교학연구회(印度學佛教學研究會)’는 ‘인도불교 연구의 미래’라는 패널 발표 보고회를 개최하였다. 이 보고회의 부제가 바로 ‘포스트www.budreview.com 아래는 원문, 밑줄 강조는 내가 대승의 기원, 율장 연구의 이정표를 세우다2017년 일본의 불교학계를 대표하는 학회인 ‘인도학불교학연구회(印度學佛教學研究會)’는 ‘인도불교 연구의 미래’라는 패널 발표 보고회를 개최하였다. 이 보고회의 부제가 바로 ‘포스트 히라카와 아키라 시대의 불교학이 나아갈 방향’이었다. 대승불..

돈에 대한 불교의 가르침과 역사적 전개 / 박경준

출처  https://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784 돈에 대한 불교의 가르침과 역사적 전개 / 박경준 - 불교평론1. 돈에 대한 불교의 가르침 인류 역사에 있어서 불의 발견 못지않게 획기적인 사건은 돈, 즉 화폐의 창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화폐에 의해서 기존의 물물교환경제(barter economy)가 화폐경제(www.budreview.com 아래는 원문, 밑줄 강조는 내가 박경준 동국대 교수1. 돈에 대한 불교의 가르침인류 역사에 있어서 불의 발견 못지않게 획기적인 사건은 돈, 즉 화폐의 창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화폐에 의해서 기존의 물물교환경제(barter economy)가 화폐경제(monetary economy)로 바뀌면서 우..

한국의 대표 불교종단 / 상제가 부처와 보살을 혼내다니!!!

원문  https://gdlsg.tistory.com/3755 대한불교 조계종과 천태종 비구승 종단과 대한불교 태고종과 진각종 대처승 종단대자연 이치의 근본 틀 음양(陰陽)은 만유(萬有)와 인간 삶의 절대 법칙 대한불교 조계종 천태종 등 비구승 종단과 태고종 진각종 등 대처승 종단 우리나라에 불교가 최초로 유입된 것은 가야를gdlsg.tistory.com 밑줄 강조는 내가  대한불교 조계종과 천태종 비구승 종단과 대한불교 태고종과 진각종 대처승 종단 by 도생(道生) 2022. 10. 1. 대자연 이치의 근본 틀 음양(陰陽)은 만유(萬有)와 인간 삶의 절대 법칙 대한불교 조계종 천태종 등 비구승 종단과 태고종 진각종 등 대처승 종단         우리나라에 불교가 최초로 유입된 것은 가야를 건국한 김수로..

근대불교학 대승비불설 대승불설

원문 http://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20440 세계의 불교학자 28. 후카우라 세분(深浦正文) / 김치온 - 불교평론 근대불교학의 도입과 대승비불설일본의 대승비불설의 문제는 불교가 아카데미 내에서 근대적인 학문으로 정립되어 가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서구의 불교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 www.budreview.com 밑줄, 강조는 내가(아래는 원문) 불교문화 연구 중요성 강조한 승려 학자 근대불교학의 도입과 대승비불설 일본의 대승비불설의 문제는 불교가 아카데미 내에서 근대적인 학문으로 정립되어 가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서구의 불교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 방법으로 문헌적 역사적인 연구가 도입됨에 따른 것이다. 불교에..

선(禪)의 깨달음, 그 정체와 문제점 / 김성철

원문 http://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506 선(禪)의 깨달음, 그 정체와 문제점 / 김성철 - 불교평론 최근 우리의 ‘선’은 재탄생을 위한 산고(産苦)를 겪고 있다. 근원의 불교인 인도불교의 시각에서 선을 분석함으로써 선을 소생시키는 데 일조(一助)하고자 이 글을 쓴다.결론부터 말하면, ‘ www.budreview.com 아래는 원문, 밑줄 강조는 내가 최근 우리의 ‘선’은 재탄생을 위한 산고(産苦)를 겪고 있다. 근원의 불교인 인도불교의 시각에서 선을 분석함으로써 선을 소생시키는 데 일조(一助)하고자 이 글을 쓴다. 결론부터 말하면, ‘선’이란 ‘초기불교의 진정한 부흥’이다. 소승의 현학주의와 대승의 허구, 금강승의 번잡함을 모두 넘어서 ..

한국 테라와다불교 창립 50주년

원문 https://bolee591.tistory.com/16161718 한국 테라와다불교 창립 50주년 기념사진을 보고 한국 테라와다불교 창립 50주년 기념사진을 보고 한장의 사진이 많은 생각을 일으킨다. 에스엔에스에 실린 한국 테라와다불교 50주년 기념 사진이다. 페이스북에 어느 스님이 올린 것을 다운 받 bolee591.tistory.com 아래는 원문. 밑줄, 강조는 내가 한국 테라와다불교 창립 50주년 기념사진을 보고 한장의 사진이 많은 생각을 일으킨다. 에스엔에스에 실린 한국 테라와다불교 50주년 기념 사진이다. 페이스북에 어느 스님이 올린 것을 다운 받았다. 한국 테라와다불교가 50주년 되었다는 것이 놀랍다. 한국에서 테라와다불교가 출범한 것은 공식적으로 2009년의 일이다. 불과 13년 역..

신들과 악마들과 하느님들의 세계에서

원문 https://blog.daum.net/bolee591/16161563 신들과 악마들과 하느님들의 세계에서 신들과 악마들과 하느님들의 세계에서 신은 있을까? 오로지 눈에 보이는 것만 믿겠다는 사람에게는 신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남들이 듣지 blog.daum.net 아래는 원문(밑줄, 강조는 내가) 신들과 악마들과 하느님들의 세계에서 댓글 2 니까야강독 2022. 7. 22. 신들과 악마들과 하느님들의 세계에서 신은 있을까? 오로지 눈에 보이는 것만 믿겠다는 사람에게는 신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남들이 듣지 듣지 못하는 것을 듣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나의 시력이 약하다면 남이 보는 것을 보지 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