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naver.com/iamsmartin/221004061721
아래는 원문
오스람 LED 스틱 전구 - 쉽게 백열등이나 삼파장 램프를 LED 전구로 교체하여 전기료 절약
제가 어릴 적만 해도 백열전구나 형광등이 조명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삼파장 램프가 나오면서 조명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절전 효과에 더 좋은 빛을 내는 삼파장 램프였기 때문이죠. 공부하는 아이가 있는 집에는 삼파장 스탠드가 하나 정도는 있었으니까요.
최근에 조명에 혁신적인 변화가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바로 LED 전등입니다.
전구 수명이 기존 전구 대비 수 십 배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스람 LED 스틱 전구를 보니 최대 10만 시간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절전 효과가 뛰어나서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런 조명의 역사로 인해서, LED 전구를 구매할 때에는 몇 가지 지식이 필요합니다. 이번에 전구를 LED 램프(전구)로 교체를 하면서 LED 전구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LED 전구를 구매할 때에 알아 두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전구의 밝기와 전력 소모 비교
오스람의 LED 스틱 전구는 7W, 9W, 10W로 총 3 종류가 있습니다.
백열전구를 경험했던 분들을 W(Watt)수를 보고, LED 전구의 밝기가 너무 어두울 것이라는 편견을 갖게 됩니다. 왜냐면, 표시된 W(Watt)의 수치가 너무 작아서, LED 전구가 너무 어둡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백열전구에서 사용했던 때의 짧은 지식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백열전구나 삼파장 전구에서 밝기를 W(Watt)로 밝기를 표현하는 것은 맞습니다. 당연히 같은 소재의 백열전구를 기준으로 밝기를 비교할 때에는 W(Watt) 수치가 높은 전구가 더 밝겠죠. 하지만, 기술적으로 W(Watt)는 빛의 밝기가 아닌, 소비전력의 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백열전구에서는 40W 전구보다는 60W 전구가 소비전력을 더 소모하기 때문에 더 밝은 등인 것이죠.
여기서 LED 스틱 전구의 장점을 알 수 있습니다. 전력 소비가 9W인 LED 전구에서 나오는 빛이 백열전구 60~70W와 동일한 밝기를 냅니다. 그리고, 삼파장 램프 15W와 동일한 밝기의 빛을 냅니다.
LED 전구는 적은 전력으로 밝은 빛을 내기 때문에 조명의 혁신이라고 하는 것이죠. 전력을 적게 사용하게 되어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습니다. 백열전구 대비 80%, 형광등 대비 50%의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LED 전구 밝기
LED 전구를 선택할 때에는 전구의 밝기가 매우 중요합니다. LED 전구를 구입할 때에 기준점이 있으면 편하겠죠. 일반적으로 쉽게 생각해서 9W 또는 10W 정도의 LED 전구가 백열전구는 60W나 삼파장 램프로는 20W에 해당합니다.
LED 전구 제조사에 따라서 조금 다르겠죠. 좋은 LED 전구라면 낮은 W(Watt)수로 동일한 빛을 낼 수 있습니다. 다른 제조사에 비해서 오스람 LED 전구가 빛의 효율이 높은 편입니다.
LED 전구를 보면, 백열전구나 삼파장 램프의 W 수와 비교를 해 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 비교 수치는 마케팅용으로 사용하는 수치이지,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기 때문에, 램프의 밝기를 절대적으로 비교하기는 힘듭니다.
전구의 밝기는 lm(루멘) 단위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이 lm(루멘) 단위로 LED 전구의 밝기를 절대적으로 비교를 하시면 됩니다.
대략, 백열전구 60W나 삼파장 램프 20W가 800~1000lm 정도의 빛을 냅니다.
LED 전구 색상(색온도)
LED 전구의 장점 중에 하나는 여러 색상(색온도)이 있어서 용도에 맞추어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오스람 LED 스틱 전구는 2700K, 4000K, 6500K 이렇게 3종류의 색온도를 가지는 제품이 있습니다.
빛에서 중요한 용어 중에 하나가 색온도이고 캘빈(K)이라는 단위로 표현을 합니다.
사진을 하는 분들은 잘 알겠지만, 색온도에 따라서 사진의 느낌이 전혀 다르게 느껴집니다.
일반적인 정오의 태양광의 색온도는 5,500K 정도입니다. 백열전구는 2,700K, 삼파장이나 형광등은 6,500K정도로 나옵니다.
오스람 LED 스틱 전구의 박스나 제품 정보를 보면, 색온도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 색온도 2700K : Warm White - 전구색
■ 색온도 4000K : Cool White - 백색
■ 색온도 6500K : Day Light - 주광색
얼마 전에 제가 쓴 블로그 글 중에, 빛의 색상에 따라서 학습 능률과 휴식에 관련이 있다는 점을 이야기 한 적이 있습니다. 전구가 사용되는 용도나 장소에 따라서 색온도를 선택해서 사용하면 좋습니다.
■ 전구색, 2,700K(Warm White) : 따뜻하고 아늑한 분위기 - 거실, 주방, 침실
■ 백색, 4,000K(Cool White) : 눈이 편한 광원 - 공부방, 현관, 테라스
■ 주광색, 6,500K(Day Light) : 사물의 실제 색상에 가까움 - 사무실, 회의실, 상업 공간
■ 전구색(2,700K) LED 스틱 전구는 침대 옆에 있는 침대 스탠드에 꼽으려고 합니다. 아늑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야간에 편안한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 책상위의 스탠드에는 백색(4,000K)이나 주광색(6,500K) 중에서 사용을 하려고 합니다. 집중이 필요한 일을 할 때에는 주광색이 더 좋습니다.
■ 주광색은 실제로 태양광에 가까운 빛을 내기 때문에, 제품의 사진을 찍을 때 사용을 하려고 합니다.
책상 스탠드, LED 스틱 전구로 교체
LED 스틱 전구의 소켓 크기에 따라서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구는 소켓의 지름이 26mm로 E26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간혹, 인테리어용 전구는 소켓의 크기가 작은 편으로 E14나 E17 등이 있습니다. 숫자는 소켓의 지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큰 사이즈로는 E39가 있습니다.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등이 E26입니다. 대부분이 E26 규격이지만, 전구 교체를 하기 전에 전구 소켓 규격을 먼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전구를 보시면 소켓 규격이 항상 적혀 있습니다.
저도 이번에 현관문의 전등을 교체하면서 현관 전등이 E17 규격인 것을 알았습니다.
LED 스틱 전구는 어떤 전구도 대체할 수 있지만, 특별히 삼파장 램프를 교체하기에 최적화된 제품입니다. 기존에 나온 LED 전구들이 공처럼 둥글어서 백열전구를 교체하기에는 용이하지만, 삼파장 램프처럼 좁은 공간에 끼울 때에는 볼형태의 LED 전구는 끼우기가 힘듭니다. 이럴 때에 LED 스틱 전구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삼파장 램프는 전체 길이가 16.6cm이고 LED 스틱 전구는 전체 길이가 11.5cm도 안됩니다. 전구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여러 전등에서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책상에서 사용하는 제도 스탠드(스탠드 램프)에 삼파장 램프를 끼워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원래는 백열전구를 꼽으면 좋은 스탠드인데, 전기료와 빛의 색온도 때문에 삼파장 램프로 바꾸었습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전등 커버 밖으로 삼파장 램프가 툭~ 튀어나와 있어서 사용을 할 때에 매우 조심스럽습니다. 혹시나 삼파장 램프가 깨질까 조심스럽게 사용을 하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LED 스틱 전구를 스탠드 램프에 끼웠습니다.
설치 방법이라고 할 것까지도 없습니다. 전구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전구가 빠집니다. 다시 새로운 LED 스틱 전구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전구가 끼워집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사용하던 전구는 뜨겁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꼭, 장갑을 끼거나 전구가 식은 후에 작업을 해야 합니다. 제 경험으로 1시간 이상 사용한 백열전구를 만져서 피부에 물집이 생긴 기억이 나네요.
LED 스틱 전구가 좋은 점은 전구의 길이가 삼파장 램프보다 짧기 때문에 전등 커버 밖으로 전구가 튀어나오지 않아서 안전합니다. 그리고, 삼파장전구는 빛이 눈에 직접 들어와서 불편했던 점도 해결이 되었습니다. 조명은 간접 조명으로 사용을 해야 눈에 좋습니다.
삼파장 램프의 색온도가 6,500K이고, 색온도가 6,500K인 LED 스틱 전구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눈으로 보았을 때는 큰 차이를 못 느꼈습니다. 카메라로 찍으니 차이가 확연히 보이네요.
(카메라에 설정 때문에 색상이 조금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LED 스틱 전구를 바꾸어 본 김에, 색온도가 4,000K인 LED 스틱 전구와 색온도가 2,700K인 LED 스틱 전구도 비교를 배보았습니다. 왼쪽이 4,000K이고, 오른쪽이 2,700K LED 스틱 전구입니다.
확실히, 색온도가 낮은 제품이 붉은 색상이 더 나면서 눈이 편한 느낌이 듭니다.
샤워실과 현관 통로등을 LED 스틱 전구로 교체
지난달 이사 오면서, 전등을 대부분 LED 모듈 전등으로 교체를 해서 지금은 백열전구나 삼파장 램프를 사용하는 곳이 몇 군데 안 남았습니다. LED 모듈 전등으로 교체하기 애매한 곳이 몇 군데 남아있네요.
LED 모듈 전등은 교체를 할 때에 비용이 좀 더 들고, 설치를 위한 간단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반면에, LED 스틱 전구는 기존의 전구 소켓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 공사나 비용이 따로 들어 가지 않아서 초보자분들에게 추천을 합니다.
화장실, 샤워실, 현관문, 베란다에 있는 전등을 보면 대부분 동그랗게 생긴 전등이 많습니다. 전등 커버를 조금씩 돌리면서 앞으로 당기면 전등 커버가 빠집니다.
저는 안전제일주의라, 저렇게 장갑을 끼고 작업을 했습니다. 감전이나 전등이 뜨겁기 때문에, 가능하면 장갑을 끼고 하시는 것이 좋겠죠~
역시나 삼파장 램프가 샤워실에 설치되어 있네요. 삼파장 전구를 돌려서 빼내면 됩니다. 생각보다 전구 교체는 어렵지 않습니다.
LED 스틱 전구를 돌려서 끼웠습니다. 샤워실이 밝은 것을 좋아해서, 9W 용량의 LED 스틱 전구를 선택했습니다. 색온도는 6,500K(Day Light) 주광색으로 선택을 했습니다. 물론,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
초보자나 처음 전등을 교체하는 분들을 위해서 동영상을 올려 봅니다. 전등 교체 방법이 정말 쉽다는 것을 알 수 있죠. 단지 전등 커버를 어떻게 벗겨내는지 몰라서 못 했을 겁니다.
기존에 삼파장 20W 주광 전구를 사용하고 있었는데요, 새로 교체한 LED 스틱 전구는 9W 주광 전구(6,500K)입니다. 소비전력으로 보면, 대략 1/2 정도이기 때문에, 전기 절약 효과가 큽니다.
느낌인지는 모르겠지만, 샤워실의 밝기가 좀 더 밝아 보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삼파장전구를 교체할 때가 되어서 그런지, 교체한 LED 스틱 전구가 더 밝아 보입니다. 그리고, 깨끗한 느낌이 듭니다.
레드벤스 오스람
레드벤스(LEDVANCE)는 110년 전통의 독일 오스람(OSRAM)에서 분사한 글로벌 일반조명 기업으로, "LED"와 "ADVANCE"의 합성어입니다. 오스람의 우수한 기술력과 품질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변화하는 시장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형광램프, 할로겐램프 등 전통조명부터 LED조명과 LED등기구, 스마트폼 등 차세대 기술의 조명까지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슬람 LED 스틱 전구는 레드밴스에서 판매하고 AS를 책임져 줍니다.
오스람 LED 스틱 전구 교체 평가
레드벤스의 오스람 LED 스틱 전구는 생각보다 마음에 드는 점이 많습니다. 전기료를 절약하기 위해서 LED 모듈 전등으로 전체를 교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시공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갑니다. 반면에, LED 스틱 전구는 일반 전구 소켓을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 시공 작업을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서 너무 편리하고 좋습니다.
삼파장 램프를 대체하기에도 장점이 많습니다. 짧고 얇은 전구의 모양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합니다.
LED 전구의 특성상, 전기료 절약과 오랜 시간 사용을 하기 때문에 중간에 전구 가는 번거로움도 없으니 너무 좋습니다.
특히, 오스람의 LED 스틱 전구는 3가지 색온도를 갖는 제품이 있어서 용도에 맞게 선택할 수 있어서 너무 마음에 듭니다.
http://thinkwiser.blog.me/220688703361 ( K 온도 : 전구색, 백색, 주백색, 주광색 )
◆ LED 조명이란?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발광다이오드의 약자로 전류를 가하면 빛을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 주요 조명용어
*빛
사람의 눈이 밝기로 감지하는 전자파의 일종입니다.
즉, 눈으로 볼 수 있는 스펙트럼희 한 부분으로 가시광선(380~780mm)이라고 불리는 파장을 말합니다.
*광효율 (lm/W)
소모하는 전기 에너지가 빛으로 전환되는 효율성을 나타내며, 광원의 평균 효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색온도 (캘빈,K)
색온도가 높을수록 차가운 광색을 갖게 되고, 색온도가 낮을수록 따뜻한 광색을 갖습니다.
크게 전구색, 온백색, 백색, 주백색, 주광색으로 구분됩니다.
*연색성 (Ra)
조명된 사물의 색재현 충실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자연광에서 본 사물의 색이 특정 조명에서 어느 정도 유사한지를 수치고 나타낸 것입니다. 100에 가까울수록 연색성이 좋은 것을 의미하며 지수가 낮을수록 색재현도가 떨어집니다.
평균 연색성이 80을 넘는 경우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명
램프의 경제적 수명의 단순한 실측값을 말하며 시스템 광속(즉, 상대적인 광속의 제품과 여전히 작동죽인 램프의 상대적 비율)이 초기 광속의 약 80% 이후 작동 시간을 수치로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광속(Lumen,루멘)
광원(조명)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초당 방출되는 빛의 전체 양을 뜻하며 단위 면적당 비치는 빛의 양입니다.
1루멘은 촛불 1개 정도의 밝기와 비슷합니다.
*조도(lx,룩스)
어떤 물체에 광속이 입사되면 그 면은 밝게 빛나게 되고, 그 밝은 정도를 조도라고 합니다.
'관심통 > 생활·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비 산정특례제도 (0) | 2017.08.21 |
---|---|
미세먼지 흐름 [한반도] (0) | 2017.07.14 |
원목 집성목 MDF PB (0) | 2017.04.26 |
겨울 전기히터 종류 (0) | 2017.01.11 |
온수매트- 동력 ,무동력 비교 (0) | 2016.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