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에 대해서 기본적인 지식이 있는 분들 중에 집에서 직접 엔진오일을 보충하거나 아예 교환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가끔 이런 분들이 겪게 되는 오일의 선택의 문제는 바로 너무도 많은 엔진 오일의 종류 중 무엇을 구매해야할까?란 의문에 부딪친다는 것입니다.
부품 상에 가면 수많은 메이커의 엔진 오일이 있으며, 5W-30, 10W-30, 10W-40, 등등 복잡한 숫자로 표기 되어 있는 라벨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과연 합성오일(Synthetic Oil)이 광고에서 보는 것처럼 성능이 좋은가에 대해서도 많이 궁금해 하십니다.
본래 자동차 엔진에 사용하는 윤활유는 광유(Mineral Oil) 자체를 사용했습니다. 광유는 원유를 시추하여 가솔린이나 등유, 경유 등을 뽑아 낸 나머지에서 점도가 높은 오일을 추출한 다음에 이를 윤활유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엔진이 발달하고 다양한 고/저온 지역 등에 고출력을 위하여 고속회전 을 많이 하는 경향으로 발달해 왔습니다. 따라서 윤활유로서의 오일은 저온부터 고온까지 전 영역에서 윤활 기능을 다 만족시켜야 했으며 윤활 기능 이외에 엔진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초기 성능을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엔진 내부에 대한 청청기능, 산화방지 기능, 불순물에 대한 분해기능 등을 지녀야 할 필요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정유회사들은 각각의 회사 나름대로 적합한 첨가제(Addictive)를 사용하여 광유와 섞어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면서 합성유(Synthetic Oil)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고 대부분의 합성유도 정제 과정에서의 정밀도 차이는 있지만 기본이 되는 기유(Base Oil)은 원유에서 뽑아내는 광유를 여전히 사용합니다. 따라서 합성유는 기존의 광유에 비해 우수한 마모방지 성능, 산화방지 성능, 광범위한 사용 온도 조건 등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엔진오일의 수명은 사용 환경에 의해 절대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합성유는 1만6천㎞마다 교환해도 된다는 공식은 반드시 옳을 수는 없는 것입니다. 또한 오일의 색만 가지고도 수명을 판단하는 것은 적절치 못합니다.
오일이 검어지는 이유는 엔진 내부의 카본 슬러지들을 분해하여 흡수하기 때문이므로 정상적인 청청 작용을 하고 있을 때는 오일의 색이 빨리 검게 변할 수 있습니다. 오일이 빨리 검어진다면 오히려 카본 퇴적이 많은 엔진의 상태를 먼저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오일의 교환 주기는 자동차 사용자 설명서에 적혀 있는 주기를 따르시는 것이 가장 좋으며 가혹한 운행 조건일 때는 더 자주 교환 하시는 것이 옳습니다. 가혹한 운행 조건이라 함은 한번 움직일 때 16㎞ 미만의 짧은 단거리로 주로 운행할 때, 아주 춥거나 더운 기후에서의 운전, 먼지가 많은 도로, 교통체증으로 인하여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운전, 트레일러를 달거나 짐을 많이 싣고 운전 하는 것 들을 말하며 오히려 장거리 여행으로 고속도로를 많이 운행 하는 것은 가혹한 조건에 해당 되지 않으므로 여행 중에 단순히 주행거리 ㎞가 많이 올라갔다고 걱정하실 필요는 없는 것입니다. 주행거리가 늘었을 땐 오히려 엔진오일의 보충개념이 필요한 것이지 엔진오일의 교환의 개념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소유하고 있는 차종, 넣어주는 연료, 차를 사용하는 목적과 스타일, 엔진오일 교환시 비용 등에 따라 적합한 엔진오일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 엔진오일 종류
① 광유계 오일 - 원유를 정제해 생산한 Base Oil(기유)에 첨가제를 배합해 생산한 오일.
장점 : 가격이 저렴하여 엔진오일 교환시 비용이 적음.
단점 : 1) 교환주기가 짧아 동일거리 주행시 합성유 비해 교환 횟수 많음.
2) 합성유에 비해 성능은 떨어짐
☞ 오프로드 운행 등으로 엔진부하가 큰 차량
② 반 합성유 - 광유계오일 + 합성기유 + 첨가제 : 광유계 오일과 합성유의 중간체
③ 100% 합성유 - 화학공정을 거쳐 최적의 분자구조를 갖는 화학물질의 합성기유(PAO)로 생산한 엔진오일. 국내에서 판매되는 대표적 100% 합성오일에는 Kixx PAO 등이 있음.
장점 : 1) 높거나 낮은 온도에서도 엔진보호성능이 뛰어남.
2) 낮은 온도에서 엔진의 시동성이 좋아 초기마모를 예방.
3) 높은 온도에서도 오일의 점도변화가 작음.
4) 휘발성이 낮고 열안정성이 뛰어남.
5)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아 엔진의 청정성을 유지.
6) 오일교환주기의 연장 및 연비향상 등의 경제성을 제공.
단점 : 순정유 대비 1회 교환시 가격이 높음
☞ 교환주기가 짧은 순정유에 비해 합성유는 1.5~1.8배 교환주기가 길어 동일거리 주행시 합성유 비해 교환 횟수 적다. 따라서 동일거리 주행시 교환주기 및 교환비용을 고려했을 때 총 비용은 순정유와 비슷하거나 조금 높음.
※ 주의
제품에 ‘합성유’라고 쓰여 있어도 100% 합성유가 아닌 경우가 있으니 100% 합성유 교환을 원하는 경우 제품라벨에 '100% 합성유 또는 ‘100% Synthetic’ 이라는 영문 표기 확인.
차종별로는 가솔린용, 디젤용, LPG용이 나뉘어져 있는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엔진별로 나누어 놓은 것으로 LPG용을 가솔린이나 디젤엔진에 넣어도 별 무리가 없습니다.
엔진오일의 품질은 표면에 표기되어 있는 기호를 봐야 한다. SF/CG등으로 표기되어 있는 이 기준은 미국석유협회(API)가 정한것으로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가솔린의 경우 SA부터 SB,SC순으로 있고 디젤의 경우는 CA부터 CG,CF등으로 나열됩니다.
가솔린용 오일은 S로 시작해 뒤의 A,B,C.. J등은 품질을 나타내는 기호로, 뒤로 갈수록 품질이 좋은 오일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디젤은 C로 시작하며 역시 알파벳이 뒤로 갈수록 품질이 좋습니다.
SG/CF 로 표기되어있다면 가솔린이 우선이지만 디젤도 사용할 수 있는 엔진오일이라는 의미다.
LPG의 경우도 역시 별다른 표기는 없지만 가솔린과 디젤용 엔진오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좋은 엔진오일의 조건중 하나가 점도인데 이는 표기된 SAE(미국 자동차 공학회)를 따릅니다.
SAE 5W/30 일 경우 여기서 W는 겨울(Winter)의 약자로 저온점도를, 뒤의 30은 고온 점도를 나타낸다. 10W보다 5W가 추운 날씨에 더욱 잘 견딜 수 있고, 고온 엔진이라면 30보다 높은 수치가 좋습니다.
만약 한가지 숫자만 있다면 이는 단일등급인데 위에서 설명처럼 2가지 숫자가 나와있다면 다중등급이라 합니다. 계절에 맟춰 엔진오일을 교체한다면 단일등급을 넣어도 되지만 보통을 그렇지 않으므로 조금 비싸더라도 다중등급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앞의 숫자가 낮을 수록 겨울철에 초기 시동시 유리한 것이며 뒤의 숫자는 높을 수록 고온에서 점도가 유지되는 좋은 오일입니다.
보통 5W30 규격의 오일이 가장 많이 쓰이고, 요새는 5W 40이나 5W50, 0W50같은 고급 엔진오일도 많이 쓰이는 추세입니다.
요약)
오일에 SAE 5W40라고 되어 있다면
W는 겨울(Winter)에 사용되는 점도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뒤의 숫자는 여름철 사용점도를 의미합니다.
예) 0W, 5W, 10W, 15W / 20, 30, 40, 50
(겨울철) (여름철)
# 합성오일의 점도에 따른 외부온도 기준은 대략 아래 표 #
OW : 영하 -50'C 이하 20 : 상온 20'C 정도
5W : 영하 -38'C 정도 30 : 상온 30'C 정도
10W : 영하 -22'C 정도 40 : 상온 40'C 정도
15W : 영하 -15'C 정도 50 : 상온 50'C 정도
*붉은 색은 우리나라상황에 대체로 맞는 기준임
그러나 고성능합성유와 일반광유의 점도에 따른 사용온도는 수치는 같을지 모르나
다음과 같이 그 범위를 달리합니다. (자료:Volkswagen/VW)
┏━━━━━━━━━━━━━━━━━━━━━━━━━━━━━━━━┓
┃ A:합성오일 ℃40╋ ┏━━━┓ ┃
┃ ┏━━━━┓ ┃ ┏━━━┓┃ ┃ ┃
┃ ┃ ┃ ┃ ┃ ┃┃ ┃ ┃
┃ ┃ ┃ 30╋ B:광유계다급오일 ┃ ┃┃SAE ┃ ┃
┃ ┃ ┃ ┃ ┃ ┃┃ 15W40┃ ┃
┃ ┃ ┃ 20╋ ┃ ┃┃ 15W50┃ ┃
┃ ┃SAE ┃ ┃ ┏━━━┓┏━━━┓┃ ┃┃ 20W40┃ ┃
┃ ┃ 5W30 ┃ 10╋ ┃ ┃┃ ┃┃ ┃┃ 20W50┃ ┃
┃ ┃ 5W40 ┃ ┃ ┃ ┃┃SAE ┃┃SAE ┃┃ ┃ ┃
┃ ┃ 10W30 ┃ 0╋ ┃ ┃┃ 10W30┃┃ 5W50 ┃┃ ┃ ┃
┃ ┃ 10W40 ┃ ┃ ┃SAE ┃┃ 10W40┃┃10W50 ┃┃ ┃ ┃
┃ ┃ ┃ -10╋ ┃ 5W30 ┃┃ ┃┃10W60 ┃┃ ┃ ┃
┃ ┃ ┃ ┃ ┃ 5W40 ┃┃ ┃┃ ┃┗━━━┛ ┃
┃ ┃ ┃ -20╋ ┃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 ┃ ┃
┃ ┗━━━━┛ ┃ ┗━━━┛ ┗━━━┛ ┃
┃ -40╋ ┃
┗━━━━━━━━━━━━━━━━━━━━━━━━━━━━━━━━┛
엔진오일과 그 종류, 보충, 교환 등을 지금까지 강좌로 올렸습니다. 이 정도면 엔진오일 만큼은 잘 아실 수 있을 겁니다.
'관심통 > 자동차·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단기어와 고단기어의 차이 (0) | 2010.01.31 |
---|---|
자동차 정비 동영상 (0) | 2010.01.31 |
디스크브레이크와 드럼브레이크 (0) | 2010.01.31 |
기름값 아끼는 운전요령 (0) | 2010.01.31 |
새차 길들이기 (0) | 2010.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