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사회
http://unsoundsociety.tistory.com/
가계부채 문제에 관한 한 박근혜 대통령은 자기가 하는 말이 무슨 말인지 모른다고 확신한다. 지난해 4분기 기준 가계부채 1021조원. 지난 한 해에 57조원이 늘었고 정부의 '빚 내서 집 사라' 대책들이 집중됐던 지난해 4분기에만 28조원이 증가했다. 즉, 대출을 늘리지 않고는 약간의 주택 거래량도 늘릴 수 없는 지경임이 너무나 뻔하다. 그런데 정부나 부동산업계는 '돈이 있어도 집값 상승 기대감이 없어 집을 사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실상은 이처럼 집을 사고 싶어도 여전히 집값이 너무 높아 빚을 내지 않고서는 집을 살 수 없는데도 말이다. 정부의 온갖 부양책에도 주택 거래가 구조적 침체기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이미 빚을 내서 집을 살 수 있는 사람도 거의 다 고갈됐음을 보여줄 뿐이다.
이런 판에 박대통령은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줄이겠단다. 그러면서도 한편에서는 LTV, DTI 규제를 완화하겠단다. 현오석부총리가 어제 발표한 것처럼 올해도 계속 디딤돌대출 확대 등 '빚 내서 집 사라' 대책을 지속하겠다는 시그널을 분명히했다. 도대체 계속 대출을 확대해서 집값을 떠받치겠다고 하면서 어떻게 가계부채를 줄이겠다는 건가. 제 정신이라면 이런 대통령과 정부의 말을 어떻게 수긍할 수 있겠는가. 한 마디로 돌겠다. @@
정부의 부동산 부양책이 계속되는 동안 가계부채 비율은 2007년 145% 수준에서 지난해 말 기준으로 170%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시기 미국의 이 비율은 133%에서 105% 수준으로 확 떨어지는 등 대다수 국가들이 적어도 민간 부채 다이어트를 했는데, 한국은 열심히 역주행했다. 도대체 언제까지 이 위험한 '폭탄 돌리기'를 계속할 것인가. 최대로 잡아야 앞으로 2~3년은 버틸지 모르지만, 그 이후에는...정말 대책 없는 대통령과 정부 관료들이 아닐 수 없다.
'관심통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가압류 vs 부동산근저당 (0) | 2012.08.26 |
---|---|
소금아파트 (0) | 2010.08.21 |
주말체험영농 목적 농지취득 (0) | 2010.01.31 |
1세대 2주택 비과세특례 [개정] (0) | 2010.01.31 |
세대합가 후 분가 그리고 다시 합가 시 양도세 (0) | 2010.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