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스쿠터, 때는 왔다"
한달 유지비 2000~3000원…휘발유 오토바이의 1.4%
이달 말 150만원대의 한국형 전기스쿠터 '신화(가칭)'출시를 앞두고 있는 레오존의 이정용 대표는 요즘 기대에 들떠있다.
| ||
전기스쿠터가 고유가로 인해 경제적인 교통수단으로 급부상하자 관련업계가 신제품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새로 선보이는 전기스쿠터들은 속도와 주행거리가 개선된 데다 가격도 싸졌다.
저가의 중국산 및 휘발유 스쿠터와의 삼각 판매 경쟁도 치열하다.
레오존이 개발한 스쿠터의 경우 충전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했다.
220V 전기플러그를 꽂아 1시간이면 급속 충전될 뿐만 아니라 배터리만 분리해 실내에서도 충전할 수 있다.
기존엔 빨라야 3~4시간이 걸렸다.
이정용 대표는 "최고시속 50㎞,최장 100㎞ 주파가 가능하다"며 "연 2만대 양산체제를 확보해 가격대도 기존의 절반 수준인 150만~200만원대로 낮췄다"고 강조했다.
특수차량 전문업체인 에코카(대표 전광일)도 200만원대의 전기스쿠터를 이르면 내년 상반기 출시할 예정이다.
최고시속 65㎞로 100㎞ 거리를 달릴 수 있는 이 스쿠터는 특히 경사 25도 언덕길도 무난히 올라갈 정도로 전기차의 최대 약점을 해결했다.
최근에는 최대 120㎞를 주행하는 장거리 전기스쿠터도 개발됐다.
자가발전기를 장착해 달리면서도 충전이 가능해진 덕분이다.
개발자인 아진의 조상만 대표는 "휘발유 스쿠터 가격대인 100만원대에 팔 예정"이라며 "6개월이면 원가를 뽑을 수 있다"고 말했다.
| ||
전기스쿠터 업체들은 현재 뚜렷한 선두주자가 없다는 점에서 시장 선점에 치중하고 있다.
에코카 전광일 대표는 "국내 전기스쿠터 수요는 지난해 중국산을 합쳐 연간 7000~8000대 정도였지만 올해 약 1만3000대로 늘어날 정도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며 "배터리와 모터 기술이 비슷비슷해 시장을 먼저 장악하는 쪽이 브랜드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세계 시장도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각국 정부 지원 정책 등에 힘입어 현재 16만대 정도인 판매대수가 2010년엔 약 67만5000대(1조8000억원)로,4배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
입력: 2007-11-15 17:58 / 수정: 2007-11-16 09:17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심통 > 자동차·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륜구동과 후륜구동 비교 (0) | 2010.01.31 |
---|---|
새차증후군 (0) | 2010.01.31 |
자동변속기 유의사항(시동 및 주행시) (0) | 2010.01.31 |
셀프세차 방법2-2 (0) | 2010.01.31 |
셀프세차 방법2-1 (0) | 2010.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