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불자인가? 오계 출처 http://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2074 불교평론 아래는 원문, 밑줄 강조는 내가 계율, 무엇을 왜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가 열린논단 101회(2019년 5월 23일) 발제문[0호] 2019년 05월 23일 (목) 이자랑 동국대 불교학술원 HK교수 -반성적으로 살펴보는 재가불자의 지계 생활- 1. ‘나는 재..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9.05.29
사띠(sati) 논쟁 원문 http://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1540 불교평론 http://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360 불교평론 아래는 원문-밑줄 강조는 내가 위빠사나 수행에 있어 사띠는 무엇인가 / 조준호 조준호 동국대 강사 [22호] 2005년 03월 10일 (목) 조준호 yathabhuta@hanmail.net 1. 들어가는 말 사띠(sati/smr.ti, 念)’의 중요성은 초기불교는 물론 이후 모든 불교 수행의 핵심에 놓여 있다는 말로 압축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념처(四念處), 사정근(四正勤), 사여의족(四如意足), 오근(五根)과 오력(五力), 칠각지(七覺支) 그리고 팔정도(八正道)로 구성되어 있는 37조도품(..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9.05.08
아비담마 맛보기 - 마음의 분석 , 연습문제 원문 http://blog.daum.net/bolee591/16159075 아래는 원문 밑줄, 강조는 내가 지혜를 갖춘 사람만이 수행할 수 있다, 떼자사미스님의 아비담마강좌 “두 가지 원인만을 가지고 태어난 자는 이 생에서 수행을 할 수 없다.”참으로 낙담하게 하는 말입니다. 두 가지 원인을 가졌다는 것은 무탐(alobha)과..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12.27
티벳불교, 공 원문 http://blog.daum.net/bolee591/16159074 아래는 원문 밑줄,강조는 내가 초기경전에서 말하는 공(空)이란? 삼동린포체 법련사 무차대회 작년 12월 31일 인도성지순례 갔었습니다. 10일간의 순례에서 사대성지를 포함하여 이곳저곳 성지를 둘러 보았습니다. 그때 본 것 중에 인상적이었던 것은 티..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12.27
여덟 가지 청법(請法) 요건 원문은 http://blog.daum.net/bolee591/16159076 아래는 원문, 밑줄 강조는 내가 법은 청해야 설하는 것, 여덟 가지 청법(請法)에 대하여 책 선물을 받았을 때 이 세상에 공짜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누구든지 선물을 주면 기뻐합니다. 청탁 등 뇌물의 성격이 아닌 한 정성이 담긴 작은 선물은 ..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12.26
축생 : 상윳따니까야 ‘물의 경’ 원문 http://blog.daum.net/bolee591 밑줄 강조는 내가 연민으로 가득 찬 축생의 삶, 비굴해 보이는 육식동물과 기품 있어 보이는 초식동물 사람 몸 받기가 힘들다고 합니다. 이를 ‘맹구우목’의 비유로도 설명합니다. 이에 대하여 상윳따니까야 ‘구멍의 경’에서는 “수행승들이여, 그 눈먼 거..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12.14
니까야 보호주 http://blog.daum.net/bolee591/16158919 아래는 원문 밑줄 강조는 내가 담마는 담마를 따르는 자를 보호한다, 아따나띠야와 구마사(驅魔師) 매일 아침 보호주를 매일 아침 보호주를 듣습니다. 이미우이가 현대음악으로 부르는 라따나경(寶石經)입니다. 붓다와 담마와 상가의 공덕을 찬탄하고 예경..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09.27
바보들이나 보시한다고? 과학의 시대와 유물론적 허무주의 행복에서 힐링으로 http://blog.daum.net/bolee591/16158917 아래는 원문 바보들이나 보시한다고? 과학의 시대와 유물론적 허무주의 “어리석은 자나 슬기로운 자나 몸이 파괴되어 죽은 뒤에 단멸하여 존재하지 않게 된다.”(S24.5) 이 말은 초기경전 도처에서 볼 수 있습니다. 부처님 당시 육사외도 ..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09.27
[2]찬나에 내려진 엄벌 브라흐마단다(梵罰), 왕따 http://blog.daum.net/bolee591 아래는 원문, 밑줄 강조는 내가 찬나에 내려진 엄벌 브라흐마단다(梵罰) 어느 모임이든지 골치 아픈 존재가 있습니다. 고집이 세고 자기 주장이 강하고 사람을 무시하는 등 안하무인격의 사람입니다. 부처님 제자 중에 마부출신 찬나(Channa)가 그랬습니다. 브라흐마..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09.06
좋은 심소(心所)를 얻는 것이 수행, 경행, 설법 조건 http://blog.daum.net/bolee591 아래는 원문 좋은 심소(心所)를 얻는 것이 수행입니다.” 김진태 선생에 따르면 수행은 기본적으로 즐거운 것이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수행은 극기훈련도 아니고 괴롭게 앉아 있는 것도 아님을 말합니다. 그래서 아름다운 심소(心所)를 계발하라고 합했습니다. 심..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