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구분교(九分敎), 초기경전에서 본 십우도 견우(見牛)의 모티브 http://blog.daum.net/bolee591/16156189 아래는 원문 “수행자여, 그대는 황소를 보았는가?”초기경전에서 본 십우도 견우(見牛)의 모티브 상윳따니까야 1권에서는 게송이 매우 풍부하다. 게송은 하나의 아름다운 시와 같은 것이지만 때로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분명하게 드러내게 하기 위하여 사용..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08.09
[2]수범수제, 과거6불 정법기간 http://blog.daum.net/bolee591 아래는 원문, 밑줄 및 강조는 내가 계율은 묶여 있어야, 율장비구계 성적교섭에 대한 학습계율을 보고 부처님의 교법이 오래 지속되기를! 불자들이라면 누구나 바라는 것입니다. 이 말을 뒤집어 말하면 부처님의 가르침도 사라질 수 있음을 말합니다. 초기경전에 ..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08.04
[2]율장을 통해 본 성욕과 성윤리// 욕망으로서 성욕에 대한 불교적 관점// 불교윤리의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성윤리 http://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1 http://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0 http://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5 [불교평론] 아래는 원문, 밑줄 및 강조는 내가 율장을 통해 본 성욕과 성윤리 / 이자랑 특집 | 한국사회의 성윤리와 불교[74호] 2018년 06월 01일 (금) 이자랑 jar..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07.23
[2]왜 보시의 시대가 최후의 말법시대인가 http://blog.daum.net/bolee591/16158691 아래는 원문 왜 보시의 시대가 최후의 말법시대인가? 설조스님단식 16일차 7.5목요법회 마음속의 촛불을 촛불없는 촛불법회가 계속 열리고 있습니다. 설조스님 단식 16일째를 맞이 하여 7월 5일 목요촛불이 조계사 일주문 맞으편 템플스테이 회관 앞에서 열렸..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07.19
[2]죽음의 침상에 누우면 [우다나] http://blog.daum.net/bolee591/16158725 아래는 원문 팔정도라는 뗏목으로, 저 언덕에 우뚝 서 있는 자 “현명한 님들은 다리를 만들어서 작은 못들을 버리고 큰 강을 건넌다. 사람들이 뗏목을 엮는 동안, 현명한 님들은 이미 강을 건넜다.”(Vin.I.230) 이 게송은 율장대품 약품의 다발에 나옵니다. 부..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07.19
[2]자유의지, 과학 (니까야 - 상태에 대한 분석) 원문 http://blog.daum.net/bolee591/16158457 이하는 원문 우리는 생체로보트가 아니다, 정평불 월정사 워크숍 자유의지가 없다는데 “자유의지는 정말 없는 겁니까?”뜬금없이 출간회장에서 누군가 던진 질문입니다. 정신과 전문의 전현수박사의 ‘정신과 의사의 체험으로 보는 사마타와 위빠사..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04.23
인간백년은 천상의 하루 : 오늘 아침부터 당신이 안보이던데,어디 갔다 왔소? 저는 죽었습니다. http://blog.daum.net/bolee591/16158418 아래는 원문 인간백년은 천상의 하루 “인간들이 태어나 겨우 백년을 사는데, 빈둥거리며 방일하게 보낸다면, 언제 그들이 괴로움에서 벗어나겠습니까?” 법구경 인연담에 나오는 말입니다. 인간백년은 천상의 하루입니다. 천하를 호령하는 영웅호걸, 천상..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04.03
[2]전단향도 따가리향도 말리까향도 ; 출가하여 오로지 자신만을 해탈시킨다고 ? (소승) 원문 http://blog.daum.net/bolee591/16156397 잡담과 법담은 어떻게 다른가? 조계종단 변천사에 대한 강좌 5월 30일 휴휴재에서 김형남변호사님의 조계종단 변천사에 대한 강좌가 있었습니다. 먼 길임에도 십 여명 되는 법우님들의 참여가 있었습니다. 매주 토요일에 각 분야별로 주제별로 강좌가 ..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03.26
[2][열린논단] 한국불교 어디로 가야 하나 - 포스텍 수학과 교수 강병균 http://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1901 불교평론 72호 밑줄은 내가 연꽃님을 통해 알게된 바로 그사람 글이네요.. [열린논단] 한국불교 어디로 가야 하나 [0호] 2018년 01월 18일 (목) 강병균 포스텍 수학과 교수1. 무아연기와 진화론 강병균 포스텍 수학과 교수 무아연기(無我緣起)에 반하..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8.02.04
분노 , 화를 마주했을 때. 제석천 http://blog.daum.net/bolee591/16158167 아래는 원문 글쓰기로 스트레스 해소를 한숨 잘 자고 나면 몸도 마음도 평안합니다. 마치 잔잔한 호수와 같습니다. 이때 파문이 일어납니다. 누군가에 의해 자극 받았을 때 동요됩니다. 순간 마음의 평정이 깨집니다. 하루에도 여러 번 쾌와 불쾌를 경험합니..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