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리(Pāli) 문헌에 나타난 성인(聖人)의 의미와 그 해석에 대한 일고찰 http://blog.daum.net/gikoship/15782784 아래는 내용 밑줄은 내가. 빨리(Pāli) 문헌에 나타난 성인(聖人)의 의미와 그 해석에 대한 일고찰 서현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명상학전공 박사과정수료. I 머리말. Ⅱ 성인에 대한 이해. Ⅲ 사향사과의 성립. Ⅳ 맺음말. 요약문 빨리 문헌에서 말하는 성..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6.08.04
붓다의 입멸과 관련한 아라한의 자살 /안 양 규 밑줄강조는 내가 http://blog.daum.net/gikoship/15782784 붓다의 입멸과 관련한 아라한의 자살 안 양 규 차 례 Ⅰ. 서 언 Ⅱ.大愛道(Mahāpajāpatī Gotamī)와 500 비구니의 般涅槃 Ⅲ. 사리불과 목련의 반열반 Ⅳ. 최후 제자 아라한의 입멸 Ⅴ. 결 어 I. 서 언 붓다 재세시 아라한들 중 자신의 수..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6.08.01
불교평론 - 우리말 대장경 번역의 현황과 문제 / 명법 불교평론 - 밑줄은 내가 우리말 대장경 번역의 현황과 문제 / 명법 특집 | 불교경전의 번역과 유통 [65호] 2016년 03월 01일 (화) 명법 myeongbeop@gmail.com 1. 서론 2000년대 이후 불교 관련 지식의 폭발적인 증가는 그동안 한국불교에서 한역경전이 차지했던 절대적인 위상의 약화와 더불어 새로운 ..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6.03.10
중도, 용수, 우정백수, 성철 http://blog.daum.net/bolee591/16155279 다양하고 풍요로운 부처님의 중도사상(中道思想) “다시 애기로 태어 나서 멋지게 살아갈래요” 언젠가 TV에서 어느 나이 드신 할머니가 말한 것이 생각난다. “젊어지고 싶지 않나요?”라는 PD의 질문에 “다시 애기로 태어 나서 멋지게 살아갈래요”라고 ..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5.12.31
아라한과 자결, 예류자와 여인 아라한과 자결 http://blog.daum.net/bolee591/16155228 http://blog.naver.com/msrh/20059169943 예류자와 여인 http://blog.daum.net/bolee591/16155309 아래는 요약 세존이시여, 저희들은 어떻게 여인을 대처해야 합니까? 아난다여, 쳐다보지 말라. 세존이시여, 쳐다보게 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합니까? 아난다여, 말하지 ..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5.11.24
대승불교 정체성 논쟁 모음 - 불교평론, 법보신문 연재 밑줄, 강조는 내가 .... 초기불교 시원론 논쟁* / 황순일 특집 | 현대 한국불교 10대 논쟁 [62호] 2015년 06월 01일 (월) 황순일 sihwang@dgu.edu 1. 논쟁의 시작 황순일 동국대 불교학부 교수 많은 중요한 교리적 논쟁들이 단순한 오해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초기불교의 시원론(..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5.10.17
불교는 육식을 금하는 종교인가 불교닷컴 기사 - 육식관련 종결버전 이네요.. 밑줄은 내가.. 불교는 육식을 금하는 종교인가 [기고] 상좌불교와 대승불교의 식육관食肉觀 비교-마성스님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5.06.22
새롭게 떠오르는 젊은 역경가들 [기획취재]새롭게 떠오르는 젊은 역경가들 “어두움 속에 무수한 보물 있어도 등불이 없으면 알아볼 수 없듯, 부처님 말씀을 전해주는 이 없으면 아무리 지혜로워도 이해할 길 없다(譬如暗中寶 無燈不可見 佛法無人說 雖慧莫能了).” 〈화엄경〉에 나오는 말씀처럼, 부처님 말씀을 우리..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5.06.12
노자와 붓다 [불교평론] 밑줄은 내가.. [논단] 노자와 붓다의 사상, 무엇이 같고 다른가* / 최재목 -《초간본노자》와 ‘초기불교’를 통해서 [61호] 2015년 03월 01일 (일) 최재목 choijm@ynu.ac.kr 1. 들어가는 말 : 노자와 붓다, 만남의 역사 이 글에서는 ‘노자와 붓다, 무엇이 같고 다른가’의 문제를 《초간본노자(楚簡..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5.04.09
불연 이기영 - 불교평론 기획연재 현대 불교학’을 견인하다 / 정병조 기획연재 : 현대한국의 불교학자 - 이기영(李箕永, 1922~1996) [60호] 2014년 12월 01일 (월) 정병조 chung8979@naver.com 1. 불연 이기영의 살아온 여정 1) 탄생에서 유럽 유학(1922~1960) 불연 이기영(不然 李箕永)은 1922년 2월 20일 황해도 봉산군 만천면 유정리에서 태..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