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가자와 출가자, 왕 http://blog.daum.net/bolee591/16156723 재가자는 출가자를 넘어 설 수 없다, 스님과 마주치면 반배의 예를 불자들은 스님을 보면 예경한다. 신심 깊은 불자라면 스님에게 삼배를 하는 것이 보통이다. 길거리에서 스님을 마주치면 합장으로서 ‘반배’를 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거리에..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1.17
아비담마의 기원 http://blog.daum.net/bolee591/16157489 아비담마의 기원은 부처님, 담마상가니(法集論)에서 해피법당에서는 아비담마 칠론에 ‘담마상가니’가 있습니다. 한역으로 ‘법집론(法集論)’이라 합니다. 최근 초기불전연구원에서 우리말로 번역된 담마상가니에 대하여 해피법당 해피스님은 자신의 카..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1.16
상가형성과정, 전도선언, 마라, 삼귀의, 처음도 중간도 마지막도 훌륭한, 차원(삼계) http://blog.daum.net/bolee591/16156115 부처님의 전도선언은 행복론이 아니라 열반론 율장대품에 ‘악마의 이야기’가 있다. 제1장 크나큰 다발에 실려 있는데 두 편이다. 하나는 전도선언과 관계 되어 있고, 또 하나는 단순히 반복적인 게송으로 되어 있다. 상윳따니까야에서는 악마를 주제로 하..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1.12
노래하면 악작죄, 노래를 금한 부처님 http://blog.daum.net/bolee591/16156430 이유 : 내용보다는 목소리와 음조에 집착, 삼매 방해 “노래하면 악작죄(惡作罪)를 짓는 것이다”노래를 금한 부처님 춤이면 춤, 노래면 노래 지난 3월 세텍에서 불교박람회가 있었다. 매년 열리는 박람회에 참석하여 기록을 남겼다. 기록 중에 가장 많이 비..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1.11
니까야 - 육신통, 하느님[범천. 브라흐마]과 아라한 , 세계창조 http://blog.daum.net/bolee591/16156333 하느님에 대한 부처님의 승리, 하느님 바까(Baka Brahma)의 전생이야기 하느님 머리 위로 공중가부좌를 하고, 브라만교를 비판하며 성립한 불교 http://blog.daum.net/bolee591/16156366 하느님에 대한 부처님의 승리, 하느님 바까(Baka Brahma)의 전생이야기 니까야에 등장하..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1.10
니까야 번역 비교 - >>> 오역 <<< http://blog.daum.net/bolee591/16156246 http://blog.daum.net/bolee591/16157145 http://blog.daum.net/bolee591/16155711 http://blog.daum.net/bolee591/16155705 아래는 각각의 원문 가문의 영광인가? 통합본 상윳따니까야에 실린 ‘진흙속의연꽃’ 블로그라는 새로운 소통수단 확실히 예전과 다른 시대에 살고 있다. 옛날에는 꿈..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6.12.28
나모 땃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삼붓닷사 - 번역비교, 분노 http://blog.daum.net/bolee591/16156546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도 좋지만, 나모 땃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삼붓닷사 카스트제도가 있다. 버려야 할 낡은 전근대적인 신분제도를 말한다. 그러나 과학문명이 발달한 현대에서도 카스트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들은 그들끼리 모여 살고 그들끼리 ..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6.11.11
붓다는 의분(義憤)을 어떻게 보았는가 / 허우성 - 불교평론 불교평론 내용 밑줄 강조는 내가.. 붓다는 의분(義憤)을 어떻게 보았는가 / 허우성 특집 | 한국사회와 분노 그리고 불교[67호] 2016년 09월 01일 (목) 허우성 woohuh@hanmail.net ‐ 달라이 라마에게 묻다 1. 머리말 2천 수백 년 전의 붓다는 의분(義憤)과 그에 따른 폭력이나 살인을 어떻게 평가했..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6.10.11
불교평론-초기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 / 마성 밑줄,강조는 내가. [특집] 초기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 / 마성 특집 | 깨달음에 관한 여덟 가지 담론[66호] 2016년 06월 01일 (수) 마성 ripl@daum.net 1. 머리말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장 현응(玄應) 스님이 2015년 9월 4일 세종문화회관에서 〈깨달음과 역사 그 이후〉 제하의 기조 발제문에서 ‘깨..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6.08.22
행복공식 밑줄은 내가 원문 http://girok2.blog.me/220653956086 행복공식 2016.03.14. 06:30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번역보기 “행복=가지고 있는 것/원하는 것” 긍정심리학자 에드 디너의 행복공식이다. 행복공식대로라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가지고 있는 것’을 더 많게 만들거나 ‘원하는 것’을 더 적게..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6.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