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136

상가형성과정, 전도선언, 마라, 삼귀의, 처음도 중간도 마지막도 훌륭한, 차원(삼계)

http://blog.daum.net/bolee591/16156115 부처님의 전도선언은 행복론이 아니라 열반론 율장대품에 ‘악마의 이야기’가 있다. 제1장 크나큰 다발에 실려 있는데 두 편이다. 하나는 전도선언과 관계 되어 있고, 또 하나는 단순히 반복적인 게송으로 되어 있다. 상윳따니까야에서는 악마를 주제로 하..

니까야 - 육신통, 하느님[범천. 브라흐마]과 아라한 , 세계창조

http://blog.daum.net/bolee591/16156333 하느님에 대한 부처님의 승리, 하느님 바까(Baka Brahma)의 전생이야기 하느님 머리 위로 공중가부좌를 하고, 브라만교를 비판하며 성립한 불교 http://blog.daum.net/bolee591/16156366 하느님에 대한 부처님의 승리, 하느님 바까(Baka Brahma)의 전생이야기 니까야에 등장하..

나모 땃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삼붓닷사 - 번역비교, 분노

http://blog.daum.net/bolee591/16156546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도 좋지만, 나모 땃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삼붓닷사 카스트제도가 있다. 버려야 할 낡은 전근대적인 신분제도를 말한다. 그러나 과학문명이 발달한 현대에서도 카스트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들은 그들끼리 모여 살고 그들끼리 ..

붓다는 의분(義憤)을 어떻게 보았는가 / 허우성 - 불교평론

불교평론 내용 밑줄 강조는 내가.. 붓다는 의분(義憤)을 어떻게 보았는가 / 허우성 특집 | 한국사회와 분노 그리고 불교[67호] 2016년 09월 01일 (목) 허우성 woohuh@hanmail.net ‐ 달라이 라마에게 묻다 1. 머리말 2천 수백 년 전의 붓다는 의분(義憤)과 그에 따른 폭력이나 살인을 어떻게 평가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