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까야 영어번역자 빅쿠보디 http://blog.daum.net/bolee591/16156841 니까야 영어번역자 빅쿠 보디(Bhikkhu Bodhi)는 누구인가? 잠시 졸고 있었을 뿐인데 잠을 자지 않고 버틸 수 있을까? ‘장좌불와’라는 말이 있는데 정말 잠을 자지 않고 살아 갈 수 있을까? 잠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한 수행승이 꼬살라국의 우거진 숲에 머물고 ..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4.10
니까야 번역 현황 - 성전협, 초불 http://blog.daum.net/bolee591/16155301 “탄광의 광부가 석탄을 캐는 심정으로…”전재성박사가 번역한 책들 ‘법구경 담마빠다’를 구입하고 책을 한 권 구입하였다. ‘법구경’이다. 시중에 수 많은 법구경이 있지만 특별히 전재성박사가 번역한 ‘법구경 담마빠다’를 구입하였다. 그런데 구..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4.06
하느님과 하늘사람 [욕계 색계 무색계] http://blog.daum.net/bolee591/16155818 축산농가[고기] 사육실태, 불교의 세계관 도표. 수명. 맹구우목, 하늘사람과 하느님,제석천과 마라와 범천, 하느님이 되는 방법, http://blog.daum.net/bolee591/16155320 (무상유정천, 깔라마경 ) 우연발생론자의 탄생, 불교의 세계관과 세상도표 카페테리아에서 수백명..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3.27
업, 과보, 윤회에 대한 현대인의 상식적 이해와 의문 http://blog.daum.net/bolee591/16157664 댓글 내용 : 서양의 합리주의자들이 오히려 윤회론을 주장함. 이전 생을 기억하지 못해 윤회는 없다? 과학적 유물론자의 오만과 편견 그들은 왜 이혼했을까? 이혼사유를 보면 성격(性格)차이라 합니다. 성격차이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 수 없으나 각 개인..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3.24
내생을 결정하는 업 http://blog.daum.net/bolee591/16157599 무거운 업 습관적으로 지은 업 임종에 다다라 지은 업 이미 지은 업 (주석서) 신종단멸론자의 간난아기론 사견, 업 잘못된 견해(邪見)를 가지면, 오역죄가 아니라 육역죄(六逆罪)인 이유 똑 같은 일을 반복하는 것 집과 일터를 매일 걸어 다니면서 보는 것이 ..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3.21
외도사상이 총집합된 ‘꿈의 비유 http://blog.daum.net/bolee591/16157593 한자경 교수의 꿈의비유가 망가지는군요.. - http://blog.daum.net/bolee591/16156843 - 중도. 여래장, 선도 다같이 외도사상이 총집합된 ‘꿈의 비유’ 법문이나 강연을 들으면 기쁨과 환희가 생겨나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마음에 혼란만 일어나고 의구심만 든다면 역..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2.10
우빠까(Upaka)는 인연 없는 중생이었을까? http://blog.daum.net/bolee591/16157586 우빠까(Upaka)는 인연 없는 중생이었을까? “인연 없는 중생은 부처님도 제도할 수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의 경전전 근거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여래삼불능중의 하나로서 ‘무인연도중생(無因緣度衆生)’이라 합니다. 여래삼불능이란 인연없는 ..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2.07
스승의 주먹(師拳) 나는 한마디도 설하지 않았다 - 我都無所說 : 대승경전과 니까야 http://blog.daum.net/bolee591/16157580 이띠붓따까(여시어경) 중 "세계에 대한 이해의 경" 이 능가경(나는 한마디도 설하지 않았다 - 我都無所說 )의 원형 디가니까야 : 스승의 주먹(師拳) - 여래의 가르침에 감추어진 사권은 없다 나는 한마디도 설하지 않았다? 스승의 주먹(師拳)과 비밀의 가르침(..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2.07
제일의공경 有業報而無作者 는 허무주의적 견해 http://blog.daum.net/bolee591/16157565 http://blog.daum.net/bolee591/16157787 영화 - 쇼생크 탈출의 명대사 제일공의경 ‘유업보이무작자(有業報而無作者)’론은 허무주의적 견해 식물을 키워보니 세상은 경이롭고 불가사의 합니다. 인간의 머리로는 도저히 이해 하지 못하는 일을 목격 했을 때 ‘신비롭..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1.31
아비담마 - "마음"의 분석 및 사식 http://blog.daum.net/bolee591/16157366 불선심, 선심, 과보심[업이숙심], 작용심[아라한의마음] 세간의마음 81가지, 출세간의마음 8가지 불선심-탐욕[을 뿌리로 하는 마음] 8개, 성냄 2개, 어리석음 2개 사견과 결합한=업과 업의 과보를 모르는 평온이 함께 한=맹하고 지둔한[사선정에서의 평온이 아님.. 관심통/인문·예술·종교·철학 2017.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