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통/목탁소리

방편법과 근본법(공부할 때의 주의점)

우공(友空) 2010. 1. 31. 01:49

방편법과 근본법(공부할 때의 주의점)
2009.08.23 09:01
http://tong.nate.com/minervaowl/49574365


 41 개의 글  / 전체 4 페이지  로그인  회원가입  
    Subject : 방편법과 근본법(공부할 때의 주의점)




불교 공부를 해 나갈 때
한 가지 중요하게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습니 다.

방편법(方便法)과 근본법(根本法),
세속제(世俗諦)와 제일의제(第一義諦), 진제(眞諦)와 속제(俗諦),
다시말해 세간법(世間法)과 출세간법(出世間法)에 대해
잘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 다.

방편법이라고 한다면
사람 들의 근기에 따라 부처님께서
응병여약(應病輿藥)으로 대기설법(對機說法) 하신 것 처럼
저마다 사람들의 근기에 따라
조금씩 달리 설해질 수 있는 가르침입니다.

그러나 그 방편들이
겉보기 에는 다르게 설해져 있다고 하더라도
근본법에 있어서는
전혀 다르지 않은 동일한 하나로써
근본법으로 귀일 되고 있음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이를테면
공과 무아에 치 우쳐 있는 사람에게는
유와 진아를 설함으로써
그 한 쪽으로 치우침을 타파해주어
중도의 참된 깨우침으로 갈 수 있도록 설해줄 것이고,

유와 아상에 치우쳐 있는 사람 에게는
무와 무상 무아 공을 설함으로써
그 한쪽으로 치우 쳐진 사견을 타파해 주어
또한 중도의 참된 진리로 이끌어 줄 것이란 말입니다.

이렇듯 방편의 가르침에서는
그 사람 마다의 상황에 따라 또 근기에 따라
다르게 설 해질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 근본에 있어서는
하나도 변함이 없는 진리 그대로의 모습으로
여일한 것임은 말 할 것도 없습니다.
팔만 사천가지 방편 법 문이 있고 방편법이 있다 하더라도
근본법에 있어서는 하 나도 나뉨이 없고 분별이 없는
여일한 한 길인 것입니 다.

이를테면
산에 오르는데
그 산의 남쪽에 사는 사람에게는
북쪽으로 가라고 말 할 것이고,
북쪽에 사는 사람에게는
남쪽으로 올라가야 한다고 말 해야 겠지만
결국에 정상에 오르는 것은 하나인 것 처럼 말입니 다.

세간법에서 보면
선과 악 이 있고,
그에 따르는 선업과 악업을 지음이 있으며,
선업과 악업에 따라 육도 윤회라는 수레바퀴를 돌고 돌면서
끊임없이 그 과보를 받는
인연과보, 인연법의 굴레 속에 서 사는 우리입니다.

그러나 출세간법, 근본법에서 본다면
선과 악이 나뉠 것이 없고,
그러므로 선업 악업 하 는 업이라는 것도 공한 것이며,
육도 윤회 또한 꿈과 같고 신기루와 같이
텅 비어 그 실체가 없는 것입니 다.

그러나 세간법 속에 사는 우리 들로써는
근본법에 근본을 두고 살아가야하겠지만,
또한 근본법 에 대한 설법을 하고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믿으면서 공부해 나가야 하겠지만,
세간법을 무시할 수 없는 것 입니다.

그래서 아직 깨닫기 이전에서 는
방편법을 열심히 닦아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깨닫고 나 면이야 선도 악도 다 공한 것이지만
깨닫기 이전에는 여전히 선악을 짓고 받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도
초심 자 재가불자들에게는 주로 방편법을 일러주심으로써
복을 많이 짓 고 선을 실천할 수 있도록
보시하는 것과 계율(도덕) 지키는 것
그리고 그로인해 천상에 태어나는 법을 가 르쳐 주셨으며,

이제 수행의 길로 들어선 수행 자들에게는
육도윤회를 벗어나고
업의 굴레를 벗어나는 대 자유의 길,
바로 근본법을 설법하신 것입니다.

눈에 보이는 세계를 본다면이 야
이 세상이 있고 내가 있고
눈귀코혀몸뜻 육근으 로 색성향미촉법이라는 육경을 마주하며
살아가고 있지 않습니 까.

그러나 지혜의 안목으로 세상 을 본다면
이 세상도 공하고, 나도 공하며
육근 육경 또한 다 공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반야심경의 조견오온개공 이나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이
다 이러한 공의 세계, 근본 법의 세계를 표현하는 말들인 것입니다.

모름지기 공부하는 사람들은
먼저 세간법과 출세간법
방편법과 근본법에 대한 구 분을 잘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경전을 보더라도
또한 스님 들의 설법을 듣더라도
어떨 때는 근본법에 대한 설법을 접 할 수 있고,
또한 어떤 때는 방편법에 대한 설법을 할 수 있는 것이 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법문을 듣거나 경전을 볼 때는
이것이 방편법인가 근본법인가를
먼저 잘 구분할 수 있는 지혜의 안목이 있어야 하겠습니다.

세간법과 출세간법,
방편법 과 근본법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서
논리적으로만 설법을 접 하고 경전을 접하다 보면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 많 습니다.


어떤 경전에서는 선을 실천하 고 악을 멀리하라고 했다가[방편법],
또 다른 경전을 보면 선악이 따로 없다고 하고
선악이 다 공한 것이라고 하 니 말입니다.[근본법]

불교는 업사상이다 하면서
악업을 짓지 않고 선업을 증장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하면서
그래야만 악업의 결과인 지옥 아귀 축생 삼악도에 나지 않 고
선업의 결과인 천상 인간 수라에 날 수 있다고 설법을 하 다가도[방편법],

또 어떨 때 보면
선악이 따 로 없으며, 업 또한 공한 것이라고 하고,
육도에 윤회한다 는 것도 다 공하므로
육도에서 훌쩍 벗어나 해탈 열반 을 얻어야 한다고 설법을 한다는 말이지요.[근본법]

보시를 실천해야 한다고 했다 가[방편법]
주는 것도 없고 받는 것도 없다고 하기도 한다는 말입 니다.[근본법]

108배도 하고, 3000배, 일만 배 열심히 절수행해야
하심이 되고 업장소멸 된다고 설법 을 하기도 했다가[방편법],
또 어떤 대는 일배가 삼천배 가 되고
지극히 삼배만 해도 일만배가 되는 법이라고 설법을 하기 도 한단 말입니다.[근본법]

염불, 진언, 독경, 절 수행, 좌선 수행
열심히 해야 한다고 그러다가[방편법]
또 어떤 때는
깨닫기 위해 어떤 노력도 할 것 없다고
깨달음도 놓아 야 한다고 말하기도 한다는 말입니다.[근본법]

그러다 보니
처음 공부하 는 초심자들 입장에서는
언뜻 이해가 되지 않기도 하고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고, 너무 어렵단 말입니다.

그것이 다 근본법과 방편법에 대한 무지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 두 가지 법에 대한 바 른 앎을 가질 수 있다면
그런 어려움들이 많이 해소될 수 있으며,
바른 실천수행을 이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두 법을 잘 모르면
근본 법과 방편법에 혼란이 오고,
어설프게 공부한 사람들이나
실천은 하지 않고 이론적으로 책만 본 사람들은
방편 법의 실천을 도외시하고
근본법만 입으로 나불나불 말만 잘 하는 경우도 얼마나 많습니까.

방편법, 세간법의 실천은 하지 도 않으면서,
수행도 필요없다고 그러고,
염불 독경도 다 필요 없다 고 그러고,
선악이 따로 없으니 선행을 할 것도 없다고 그러 고,
'선은 도가 아니라'고 그러면서 악행을 일삼는다면
그 사 람은
방편법을 도외시한 그 죄로, 그 구업으로
지옥 속에서 몇백년, 몇천년을 보내야 할 지 누가 알겠습니 까.

깨닫고 보면 그대로 근본법을 굴리며 살 수 있겠지만
아직 미혹한 우리로서는
아직 근본법 운운하면서 세간법을 하찮게 여기는
그런 공부 를 지어가서는 안되겠습니다.

진속 이제의 올바른 분별을 통 해
원효성사의
세간과 출세간법을 아우르는,
진제와 속 제 사이를 자재하게 아우를 수 있는
무애행으로 표주박 을 두드리며 시장 바닥을 법당삼아
더덩실 춤출 수 있는 지 혜를 조금이나마 느껴볼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임금과 백성, 빈부와 귀천, 생 사와 열반, 부처와 중생
세간법과 출세간법, 근본법과 방 편법을 자유롭게 오고가며,
한데 아우르며 운행할 수 있었던 옛 조사스님네들의
바람처럼 걸림없이 자유로 운 무애행을 말입니다.



No. 1
2003-07-08 
09:59:21 

김지곤 
이제까지 이해되지 않은 부분이 많았는데 이 글을 읽고 조금은 이해가 갑니다만, 방편법과 근본법을 확실하게 구분하여 판단을 잘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으면 가르쳐 주시면 감사  

No. 2
2003-07-26 
10:58:11 

박명희 
근본법을 공부하다  

No. 3
2003-07-28 
13:41:09 

최상륜 
자상하신 비교 설명 너무 고맙습니다...성불하소서.._()_  

No. 4
2003-11-14 
00:12:22 

박병홍 
이글을 읽고 공허함 뿐이네요^^''  

No. 5
2004-01-03 
10:59:32 

서상교 
감사합니다.감사  

No. 6
2004-01-03 
10:59:52 

서상교 
감사합니다  

No. 7
2004-03-08 
15:03:37 

최수기 
산의 비유에서 남쪽이든북쪽이든 그게 방편이고 정상은 근본법이다.이렇게 이해를 해야하는지요?좀더 자세히 부탁합니다. 우매해서...  

No. 8
2004-03-29 
16:05:49 

이봉수 
왜 그럴까하고 평소 의아해 했던 부분을 시원하게 해소했습니다. 감사합니다.  

No. 9
2004-05-24 
12:31:31 

공종임 
비교하여 비유해주시니 쉬이 이해되네요. 감사합니다.  

No. 10
2004-05-27 
12:02:11 

김기성 
법보신문에서알게되어  

No. 11
2004-05-27 
12:05:04 

김기성 
법보신문에서알게되어 만나게되었습니다 좋은법문감사합니다 정진하겠습니다 성불하세요  

No. 12
2004-06-10 
08:46:27 

김훈 
고맙습니다.^^  

No. 13
2004-07-25 
13:17:55 

박주현 
감사합니다. 고마워요^^  

No. 14
2005-03-10 
06:25:17 

현이인 
...감사합니다...  

No. 15
2005-03-22 
09:51:57 

이경민 
이지함 선생이 직접풀이한 토정비결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마다 하나하나 자세하게 나오네요. 주소창에☞ http://sajugung.com ☜라고 입력하신후 엔터치세요  

No. 16
2007-05-30 
19:38:14 

황성문 
감사합니다.
참회합니다.

합장
 

No. 17
2008-08-07 
15:45:31 

이민철 
감사합니다.  

No. 18
2008-12-26 
22:38:02 

조방현 
늘 막연해하던 부분이었는데 스님의 법문으로 그 궁금증이 말끔히 해소되었습니다. 까페 법우들과 함께 나누고 싶어 담아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_()_  

No. 19
2009-02-10 
12:50:55 

임동욱 
의문이 조금 풀리는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프린트하기   목록보기 글쓰기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
29  실천! 생활수행 5원칙 [17] 2006/04/17 7241
28  중도의 길을 걸으라 [5] 2006/01/22 3932
27  수행자라는 마음도 놓아라 [10] 2004/11/26 5941
26  수행자의 힘, 믿음과 맡김 [5] 2004/08/12 4990
 방편법과 근본법(공부할 때의 주의점) [19] 2003/06/23 7031
24  작고 소박한 행복 [10] 2003/06/23 4316
23  많은 일로 스트레스 받을 때... [5] 2003/06/23 4433
22  참된 믿음과 삶 [5] 2003/06/23 3192
21  화엄 법화 열반경의 핵심 사상 [5] 2003/06/23 2401
20  금강경의 핵심사상 [4] 2003/06/23 3250
19  무더운 여름 시원하게 나기 [2] 2003/06/23 1765
18  집착은 놓고 인연은 받아들인다. [8] 2003/06/19 3311

    목록보기  이전  다음글쓰기 [1] 2 [3][4]

Copyright 1999-2009 Zeroboard / skin by f2plus

목탁소리>생활수행이야기: 명상하기(정사유)
덧글
[0]
 |
엮인글
[0]
 |
공감
[0]
친구에게 알리기
[1]
업과 마음에 관한 가르침들
나는 어디에 갇혀 있는가
  이동 | 수정 | 삭제

'관심통 > 목탁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을 뛰어 넘는 길  (0) 2010.01.31
작고 소박한 행복   (0) 2010.01.31
업과 마음에 관한 가르침들   (0) 2010.01.31
나는 어디에 갇혀 있는가  (0) 2010.01.31
수행에 진척이 없다고? 그래도 앉으라  (0) 2010.01.31